감염병예방법

수족구병 예방관리하기

로취코리아 | 2014-11-08 10:46:55

조회수 : 1,673

 수족구병_예방관리.hwp (1.5M) [10] DATE : 2014-11-08 10:46:55

수족구병의 치료법과 예방법은?

 

작성중앙대학교병원 소아청소년과 의학 정보수족구병 제공

열이 많이 나는 경우 옷을 벗기고 해열제를 사용하시고, 그래도 열이 떨어지지 않고 심하게 나면 30도 정도의 미지근한 물로 닦아주십시오. 해열제를 사용하면 해열 효과뿐 아니라 진통효과로 입안이 아픈 것을 줄여줄 수 있습니다.

 

아이가 수족구병에 걸렸으면 잘 먹여야 합니다. 하지만 아무리 엄마가 잘 먹이려고 노력을 해도 입안이 아픈 아이가 잘 먹을 수는 없습니다. 우선 밥보다는 죽을 주는 것이 좀 더 낫습니다. 찬 음식이 따뜻한 음식보다 먹기 편하고 맵고 시고 자극적인 음식보다는 담백한 음식이 좋습니다. 우유병을 빨면 입안의 헐은 곳에 자극을 받아 힘들어 할 수 있으므로 분유나 물은 컵으로 주십시오.

 

잘 먹지도 못한 아이가 8시간 이상 소변을 보지 않는다면 바로 소아청소년과 의사의 진료를 받는 것이 좋습니다. 만일 1세 이전의 아이가 8시간 이상 소변을 보지 않거나 1세 이후의 아이가 12시간 이상 소변을 보지 않는다면 밤중이라도 응급실로 가서 소아청소년과 의사의 진료를 받는 것이 좋습니다.

 

수족구병이 있는 어린이는 일반적으로 첫 증상이 나타나면서부터 수포성 발진이 없어질 때까지가 전염성이 높은 기간이므로 이 기간 동안에는 학교나 유치원 등 집단생활을 계속해서는 안 됩니다. 특히, 감염된 사람은 공동으로 사용하는 수돗가에서 손을 씻지 말아야 하며, 감염된 아기의 변이 묻은 기저귀를 아무렇게나 버리면 대변 속에 배출된 바이러스가 수주일이나 전염력을 갖고 있기 때문에 위험할 수 있습니다.

 

예방접종 백신은 아직 없으며, 한번 감염되면 면역이 생기지만 다른 균주에 의해 감염되면 다시 수족구병을 앓게 될 수도 있습니다.

 

예방을 위해서는 손을 자주 씻고 감염된 유아와 물건을 공유하거나 신체접촉을 피해야 합니다. 기저귀를 갈고 난 후나 분변으로 오염된 물건을 세척하고 난 후 비누를 사용하여 손을 잘 씻도록 해야 합니다. 환자 아이와의 신체 접촉을 제한함으로써 감염 위험성을 낮출 수 있고 감염의 확산을 막기 위해 발병 초기 수일간 집단생활에서 제외시키는 것이 좋습니다.

이전   다음
© 로취코리아